-연습문제
프로토콜의 3가지 요소가 아닌 것은 무엇인가?
①구문
②통제
③순서
④의미
->②통제
-프로토콜의 3가지 요소는 구문, 의미, 순서로 이루어져있다.
2. 프로토콜의 기능이 아닌 것은 무엇인가?
①순서제어
②연결제어
③캡슐화
④비동기화
->④비동기화
프로토콜의 기능에는 주소설정, 순서제어, 데이터 대열의 단편화 및 재조합, 캡슐화, 연결제어, 흐름제어, 오류제어, 동기화, 다중화, 전송 서비스가 있다.
3. 다음 중 B클래스에 속하는 IP 주소는 무엇인가?
①11.12.250.254
②168.126.63.1
③200.200.200.1
④244.221.5.1
->②168.126.63.1
-A클래스 : 0~127번 대역 네트워크
B클래스 : 128~191번 대역 네트워크
C클래스 : 192~223번 대역 네트워크
D클래스 : 224~239번 대역 네트워크(멀티미디어 방송을 할 때 자동으로 부여된다)
E클래스 : 240~255번 대역 네트워크(테스팅을 위한 주소 대역으로, 사용하지 않는다.)
4. OSI 7계층 중 라우팅, 흐름 제어, 단편화(Segmentation/Desegmentation), 오류제어 등을 수행하는 계층은 무엇인가?
①표현계층
②전송 계층
③네트워크 계층
④데이터 링크 계층
->③네트워크 계층
-네트워크 계층은 라우팅, 흐름제어, 단편화, 오류제어 등을 수행한다.
네트워크 계층은 IP, ARP, RARP, ICMP, IGMP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라우팅, 흐름제어, 단편화, 오류제어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IP : 두 노드 간의 데이터 전송 경로 확립. 비 연결 지향형 프로토콜
ARP : IP주소를 MAC주소로 변환
RARP : MAC주소를 IP주소로 변환
ICMP : 호스트 서버와 인터넷 게이트웨이 사이에서 메시지를 제어하고 오류를 알려주는 프로토콜. 패킷 도착 여부 확인
IGMP : 멀티캐스트 그룹 관리
5.OSI 7계층 중 점대점(point-to-point) 연결에 신뢰성 있고 투명한 데이터 전송을 보장하기 위한 계층으로, 이를 위해 양단간에 오류제어와 통신량 제어 그리고 다중화를 제공하는 계층은 무엇인가?
①표현 계층
②전송 계층
③네트워크 계층
④데이터링크 계층
->②전송 계층
-전송계층은 양 끝단의 사용자들이 신뢰성 있는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게 하여 상위 계층이 데이터 전달의 유효성이나 효율성을 고려하지 않아도 되게 해준다. 포트번호를 통해 다중화가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6. 다음 중 2계층에서 동작하는 네트워크 장비는 무엇인가?
①리피터
②스위치
③허브
④라우터
->②스위치
-2계층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는 브리지, 스위치 등의 장비를 사용한다.
7.수신되는 프레임의 목적지 주소를 확인하고 목적지 주소의 포트로 프레임을 즉시 전송하는 스위칭 방식은 무엇인가?
①컷스루 방식
②저장 후 전송 방식
③인텔리 전트 스위칭 방식
④전이중 방식
->①컷스루 방식
-컷스루 방식은 수신한 프레임의 목적지 주소를 확인하고 목적지 주소의 포트로 프레임을 즉시 전송하여 지연시간이 최소화된다. 수신한 패킷에 오류가 발생할 때는 목적지 장치에서 해당 패킷을 폐기한다.
8. 비연결 지향형 프로토콜로, 상대방이 보낸 응답을 확인하지 않으며 송신 시스템이 전송하는 데이터에 대한 목적지 시스템의 확인 절차를 생략하여 네트워크에 부하를 주지 않는 것이 장점인 프로토콜은 무엇인가?
①TCP
②IP
③UDP
④ICMP
->③UDP
-UDP 프로토콜은 4계층-전송계층에서 동작하는 비연결 지향형 프로토콜이다. UDP는 상대방이 보낸 응답을 확인하지 않으며, 송신 시스템이 전송하는 데이터에 대한 목적지 시스템의 확인 절차를 생략하여 네트워크에 부하를 주지 않는다.
9.호스트 서버와 인터넷 게이트웨이 사이에서 메시지를 제어하고 오류를 알려주는 프로토콜로, ping에 사용되는 것은 무엇인가?
①TCP
②IP
③ICMP
④FTP
->③ICMP
-ICMP는 호스트 서버와 인터넷 게이트웨이 사이에서 메시지를 제어하고 오류를 알려주는 프로토콜이다. ICMP는 IP 데이터크램을 사용하지만 메시지는 TCP/IP 소프트웨어에 의해 처리되며, 응용프로그램 사용자에게 직접, 분명하게 보이지는 않는다. ICMP를 사용하는 대표적인 툴은 ping이다.
10. 244.0.0.1~239.255.255.255 IP를 사용하여 한 호스트에 특정한 호스트를 묶어서 전송하는 식으로 특정 그룹에 패킷을 전송하는 형태는 무엇인가?
①유니캐스트
②브로드 캐스트
③멀티캐스트
④애니캐스트
->③멀티캐스트
-244.0.0.1~239.255.255.255 IP대역은 D클래스로 멀티미디어 방송을 할 때 자동으로 부여된다. IGMP는 멀티캐스트에 관여하는 프로토콜인데 멀티캐스트 그룹을 관리하는 역할을 한다. 멀티캐스트는 유니캐스트와 브로드 캐스트의 주안 형태로, 송신하는 하나의 호스트에 특정한 호스트에 특정한 호스트를 묶어서 전송하는 것을 멀티캐스트라 한다. 멀티캐스트는 지정한주소로 패킷을 한번만 전달하면 멀티캐스트 그룹에 속한 모든 호스트에 전달되기 때문에 효율이 높다.
11. 다음 중 연결 지향형으로 동작하는 전송 계층 프로토콜은 무엇인가?
①ARP
②IP
③TCP
④UDP
->③TCP
-TCP는 전송계층에서 동작하는 연결 지향형 프로토콜로, 데이터의 흐름을 관리하고 데이터가 정확한지 확인한다.
12.다음 중 서비스와 포트 번호가 잘못 연결된 것은 무엇인가?
①FTP, 21
②Telnet, 23
③SMTP, 53
④TFTP, 69
->③SMTP, 53
-SMTP의 포트번호는 25번이다. SMTP는 TCP/IP에서 많이 사용하는 응용 서비스 중 하나로, 메일 서비스이다. 포트번호 53번을 가지는 서비스는 DNS 서비스이다. DNS는 도메인 이름 주소를 통해 IP주소를 확인할 수 있는 프로토콜이다.
-심화문제
13. 프로토콜의 기능 중 캡슐화에 대해 설명하시오.
->캡슐화란 어떤 네트워크를 통과하기 위해 데이터를 전송할 때는 다른 무언가로 감싸서 보내고 해당 네트워크를 통과하면 감싼 부분을 다시 벗겨내어 전송하는 기능을 말한다.
14. ARP 와 RARP에 대해 설명하시오.
->ARP는 IP주소를 MAC주소(물리주소)로 변환하는 프로토콜이고, RARP는 보통 디스크가 없을 때 사용하는데, MAC주소를 가지고 IP주소로 변환하는 프로토콜이다.
15. 동적 라우팅과 정적 라우팅의 특성을 세 가지씩 간단히 기술하시오.
->
O동적라우팅의 특성
-경로 설정이 실시간으로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초기에 관리자가 다양한 라우팅 정보를 분석한 최적의 경로설정이 가능하다.
-라우팅 알고리즘을 통한 경로 설정이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라우터의 직접적인 처리 부하가 감소한다.
-네트워크 환경변화에 대한 능동적인 대처가 어렵다.
-네트워크 환경변화 시 관리자가 새로운 라우팅 정보를 통해 경로를 재산출하여 각 라우터에 제공해야 한다.
-비교적 환경변화가 적은 형태의 네트워크에 적합하다.
O정적라우팅의 특성
-경로 설정이 실시간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네트워크 환경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다.
-라우팅 알고리즘을 통해 자동으로 경로 설정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관리하기 쉽다.
-주기적인 라우팅 정보 송수신으로 인한 대역폭 낭비를 초래한다.
16. TCP프로토콜에 대해 간단히 설명하시오.
->TCP는 전송 계층에서 동작하는 연결 지향형 프로토콜로, 데이터의 흐름을 관리하고 데이터가 정확한지 확인한다.
도움이 되셨다면 ▼▼▼▼▼▼▼▼ 하트 꾸욱 눌러주세욤:)
'NETWORK > 네트워크 해킹과 보안 (개정 3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리]네트워크 해킹과 보안 연습문제 4장 (0) | 2020.05.15 |
---|---|
[정리]네트워크 해킹과 보안 연습문제 3장 (0) | 2020.05.14 |
[정리]네트워크 해킹과 보안 연습문제 1장 (0) | 2020.05.12 |